-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16] 끝을 향해제주/생활 2011. 12. 26. 08:30
1 1 . 1 2 . 1 7 . 토 ~ 1 2 . 2 3 . 금 제주도의 겨울은 푸르다. 제주도의 다른 지역은 요즘 잘 안 다녀서 모르겠지만 적어도 우리가 사는 서쪽 지역은 그렇다. 차창을 내려 매서운 바람을 맞지 않는다면 지금이 겨울인가 싶다. 크리스마스는 멀게만 느껴진다. 마무리 되어 가는 리모델링 공사 때문에 마음에서도 크리스마스는 멀리 있다. 페인트는 한 번 쓰윽 칠하면 끝인 줄 알았다. 그런데 보고 있노라니 꽤 공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었다. 다른 곳에 묻지 않게 비닐을 씌우고 칠하고 말린 후 다시 칠하고... 거기다 계속 내린 비 때문에 작업 순서가 꼬여 시간이 더 많이 들었다. 어찌 되었든 롤과 붓이 지날 때마다 집은 급격하게 바뀌어갔다. 홈쇼핑에서 보여주는 화장 전후의 모습을 보는 듯 했다..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15] 비가 그쳤으니 분주하게제주/생활 2011. 12. 21. 23:49
1 1 . 1 2 . 1 2 . 월 ~ 1 2 . 1 6 . 금 평소 같았으면 너그럽게 즐길 수 있었겠지만 지금은 지긋지긋할 수 밖에 없는 비(雨)의 시간들이 지나갔다. 새로운 주가 시작되었고 그동안 밀린 작업을 채워나가느라 현장은 무척 분주해졌다. 각기 다른 분야의 작업단들이 작은 공간의 여기저기서 각자의 기술을 뿜어냈다. 제법 긴 시간동안 이루어진 목공 작업이 마무리 되었다. 한가지 작업이 끝나 기쁘기도 하지만 헤어짐은 언제나 아쉬움을 남긴다. 그러나 기쁨도 아쉬움도 잠시, 정신없이 새로운 팀들이 치고 들어왔다. 타일 작업이 있었다. 굵고 짧게. 전광석화 같이 타일을 붙이고 하루만에 사라지셨다. 집이 한층 더 산뜻해졌다. 원래 지난 주에 시작하기로 계획했으나 비 때문에 연기되었던 페인트 작업이 시작되..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13] 연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제주/생활 2011. 12. 18. 10:00
도시에서는 가게마다 크리스마스 장식에 전등이 반짝거리고 캐롤이 울려퍼질 시기. 내 의사, 의지와는 상관없이 연말 분위기를 탈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는 12월. 하지만 리(里) 단위의 시골은 열외다. 제주도의 12월은 미깡(밀감) 따기 바쁘고 한 겨울임에도 밭은 무럭무럭 자라난 채소들로 푸르러 그저 농번기일뿐이다. 그런 환경 속에 학교와 집만을 오가는 모범생 마냥 공사장과 집만을 오가는 생활이 이어지니 연말 기분은 달력 보며 공사 일정 점검할 때나 잠깐 느낀다. 대륙고기압의 발달로 점점 차가워지는 바람과 동지를 향해 가며 점점 짧아지는 해가 공사에 지장을 줄까 그저 염려스럽기만 하다. 1 1 . 1 2 . 0 2 . 금부터 1 2 . 0 6 . 화까지는 목공, 미장 공사에 필름 부착 등의 공사가 진행..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11] 목공과 미장 그리고 선택제주/생활 2011. 12. 13. 00:41
1 1 . 1 1 . 2 6 . 토 ~ 1 1 . 3 0 . 화 창문 없이 벽이 훌훌 뚫여 있어, 귀신만 없지 밖에서 보면 꼭 폐가 느낌 나던 집에 창문이 달렸다. 창문이 달리면서 본채 내부 목공 작업도 거의 마무리를 지어, 들어가면 집다운 면모가 느껴진다. 방문만 달리면 침낭 깔고 자도 될 것 같다. 마음은 한참 앞질러 가고 있다. 그런 마음을 앞질러 목수 아저씨와 도우미 아주머니는 이제 창고를 드나드신다. 돌과 콘크리트, 그리고 철기둥의 차가운 조합에 나무가 하나씩 붙여지며 온기가 스며들기 시작한다. 미장팀이 다시 방문했다. 아직 가야할 길이 멀지만 철거 직전 분위기를 연출하던 본채 외관은 한결 매끈해졌다. 벽돌을 쌓아 구분해 놓기만 한 화장실과 보일러실에도 콘크리트가 발라져 좀 더 모양새를 다졌다...
-
[제주도 농가주택 리모델링 8] 창고 안팎 속시원히 정리, 그리고.제주/생활 2011. 11. 17. 23:33
1 1 . 1 1 . 1 0 . 목 ~ 1 1 . 1 1 . 1 6 . 수 마지막 일지를 쓴 후 다시 일주일이 흘렀다. 아직 색조화장이 아닌 기초화장이다 보니 분명 화장은 계속 하고 있지만 감탄을 자아내는 이쁜 변화는 없다. 하지만 조근조근 변화는 이어지고 있다. 본채에 이어 돌창고에도 벽돌쌓기가 이어졌다. 새로운 벽을 만들어야 하는 곳, 창틀과 출입문이 들어서야 하는 곳, 모두 벽돌이 동원되었다. 다섯 파레트, 엄청난 양의 벽돌이 들어왔을 때만 해도 저걸 어디에 다 쓰나 했는데, 네 파레트 가까이가 사라졌다. 거친 제주 현무암의 울퉁불퉁한 선에 네모 반듯한 벽돌의 직선이 가미되었다. 모든 화장이 끝났을 때 절묘한 조화를 이뤄내 주길 바라는 마음도 긴 선이 되어 계속 이어진다. 처음 창고 속을 들여다 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