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타 키나발루 여행 끝여행/코타키나발루 2016 2019. 1. 29. 18:38
2016년 2월 말레이시아 코타 키나발루 여행 기록 마지막. 호텔에서 캐리어를 찾고 택시를 탔다. 3일 전 밤에 달렸던 길을 다시 거슬러 공항에 도착했다. 3박 5일 일정이 끝나간다. 여기 코타 키나발루에서 머무른 시간은 만 3일. 72시간. 아쉽기 이를 때 없다. 증기기관차를 타고 떠나는 기차여행도 떠나보고 키나발루 산 트레킹도 해보고 싶다. 하지만 고요한 빈 집을 외롭게 지키고 있을 고양이 모녀를 생각하면 5일도 사치다. 공항에 들어선 후에는 아쉬움 붙잡아도 소용 없으니 고양이 집사로 돌아갈 시간을 재촉할 뿐이다. 조금 여유롭게 공항에 도착했다. 시간이 남아 맥도날드에서 커피와 선데이 아이스크림을 사 먹고 공항 밖으로 나와 코나 키나발루의 마지막 풍경을 담았다. 여기에 다시 올 수 있을까? ..
-
코타 키나발루, 마지막 밤여행/코타키나발루 2016 2019. 1. 24. 10:30
2016년 2월 말레이시아 코타 키나발루 여행 4일째. 코타 키나발루에서의 마지막 저녁은 '어퍼스타 UpperStar'라는 식당에서 먹었나 보다. 당시의 사진을 보면 대충 어떤 내용이었는지 웬만하면 생각이 나는데 이 식당은 왜 선택했는지, 3년 가까이 지난 지금 전혀 기억나지 않는다. 비행기 탈 시간은 까마득히 남았고 딱히 계획한 일도 없으며 아직 배가 고픈 시간도 아닌 어중간한 상황 때문 아니었나 추측해본다. 어차피 호텔에서 여행가방을 찾아야 하니 호텔 가까운 곳에 식당을 정하고 그 곳까지 걸어가며 시내 구경을 하려했던 것 같다. 코타 키나발루에도 비버리힐이 있나 보다. 우리 어릴 적에 '비버리힐즈 아이들'이란 -요즘 말로- 미드가 있었다. 예전에는 공중파에서 미드를 참 많이 보여줬었다. 이럴 때..
-
코타 키나발루 사바 주립 모스크, 걷고 또 걷고여행/코타키나발루 2016 2019. 1. 13. 18:48
2016년 2월 코타 키나발루 여행, 4일째. 사바 박물관을 나서 사바 주립 모스크로 향하는 길.우리나라에서도 그렇지만, 특히 다른 나라에서는 유명한 관광지가 아닌 그냥 평범한 길이어도 걷는 것을 좋아한다. 사바 박물관에서 주립 모스크로 향하는 길도 그렇다.비록 대로인데다 날씨도 덥기 이를 때 없지만지나다니는 차들, 표지판, 가로수 등 모든 풍경이낯설고 그 낯설음으로 여행의 기분이 즐거워진다. 조금만 덜 더웠어도 제대로 즐겼을텐데,너무 덥다. 많이 지쳐갈 때 즈음, 황금빛 지붕이 시선에 들어왔다. 모스크, 참 오랜만이다. 마지막으로 모스크에 간 것이세계여행 할 때 모로코 카사블랑카에서였으니 참 오랜만이다. 다행히 모스크는 개방되어 있었다.이슬람교의 율법을 정확하게는 모르지만여자의 복장에 제한이 많은 것은..
-
코타 키나발루, 사바 박물관여행/코타키나발루 2016 2019. 1. 9. 00:29
2016년 2월에 다녀온 말레이시아 코타 키나발루 여행,네번째 날의 기록. 3박5일의 일정이라 오늘이 실질적 마지막 날이다.여행가방을 숙소에 맡겨놓고 택시를 부탁했다. 오늘의 첫번째 목적지는 사바 박물관, Sabah Museum. 말레이시아는 말레이반도의 서말레이시아와보르네오섬의 동말레이시아로 이뤄져있다.보르네오섬에는 사라왁주와 사바주가 있고사바주의 주도가 코타 키나발루라고 한다. 어느 도시에 가든 박물관이나 미술관은 가급적 들러보는 편이다.당연히 한글 안내는 없을터이니 내용을 제대로 파악할 수는 없겠지만 사바주에 대한 궁금증을 안고사바 박물관으로 향했다. 박물관은 웅장했다.아마도 이 곳 전통 건축 양식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고건축에 대해서 아는 것은 별로 없지만 직선의 연결미..
-
극복 후 말레이시아여행/코타키나발루 2016 2017. 8. 15. 11:00
전날 밤 생각지도 못했던 소음 때문에 잠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다. 피곤한 몸을 이끌고 조식을 먹기 위해1층 식당으로 향했다. 식당은 이미 만석이었다. 매우 북적거려 보였다. 좋게 말하면 활기차다고 해야할까?뭔가 여유로운 분위기의 아침식사를 기대했었는데, 당황스러웠다. 첫번째 접시를 비우는 동안 그 많은 사람들을 보면서 생각이 들었다.우리가 느꼈던 -모든 방에서 동일하게 난다는- 소음이큰 문제가 된다면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이 호텔 레스토랑에서 아침을 먹어대고 있을 수 있을까? 소음 문제에 대해 다시 호텔 측에 문의하는 것은 더욱 어렵게 다가왔다.지금의 문제와 감정을 영어로 충실하게 전달하는 것도 부담스럽다.전달한다 한들 개선의 가능성은 적어보인다.그런 현실적인 어려움과 더불어 대다수의 사람들이 문제 삼지..